Home > 세탁상식 > 세탁의 방법

세탁의 방법

고객과의 약속을 최우선으로 생각하는 태원세탁입니다.

습식 세탁법

습식세탁은 세탁수단이 인력에 의하여 행하여지는 수공세탁과 전기세탁기를 사용하는 기계세탁으로 나누어지는데, 세탁용수의 온도에 따라 상온에서의 저온세탁, 40℃ 내외의 중온세탁, 70℃ 이상의 고온세탁 등으로 다시 분류된다.

· 수공세탁은 재래식 빨래방법으로서, 세탁효과를 얻기 위해 인력으로 힘을 가해 흔들어 빨거나 주물러 빨거나 또는 비벼 빨거나 두들겨빨고 다시 삶아 빠는 방법을 이용한다.

· 기계세탁은 세탁을 인력에 의하지 않고 전기세탁기를 사용하는 것을 말하는데, 전기세탁기는 세액을 회유시키는 기구에 따라 교반식·드럼식·와류식·와권식·진동식·초음파고속식으로 분류되며, 조직방법에 따라 수동식·반자동식·전자동식으로 나누어진다.
세탁기에는 탈수기가 함께 부착되어 있는데, 그 종류로는 원심탈수기와 롤러탈수기가 있다. 어느 것이나 단시간에 효과적으로 탈수하는 이점이 있으나, 세탁물에 손상이 적은 원심탈수기가 많이 사용된다. 장기간의 탈수는 깊은 구김살이 생길 염려가 있으므로 피하는 것이 좋다.

건식 세탁법

물 대신에 유기용제를 쓰는 세탁방법으로, 주로 전문업소에서 행하며, 드라이클리닝이라고 한다.
이 세탁법의 특징은 물에 녹지 않는 유지 등의 얼룩 및 때를 용출시키고, 물로 인해 수축·변형·염료 탈락 둥의 위험이 있는 의류에 적합한 점이다. 그러나 용제가 비싸고 인화성·독성 등이 있으며 수용성 때를 제거하기가 곤란한 결점도 있다.
용제로서 예전에는 석유계 용제인 솔벤트·미네랄 테르펜 등이 쓰였으나, 최근에는 화재의 위험이 없는 염소계 용제로서 트리클로로에틸렌·과클로로에틸렌·클로로플루오로에틸렌 등이 쓰인다. 수용성 및 불용성 고형 때의 제거를 돕기 위해 비이온 계면활성제 등을 첨가하고 미량의 물을 가용화시켜서 세액으로 하는 차지식이 호평을 받고있다. 견·모섬유와 같이 내수성이 약한 섬유나 염색견뢰도가 낮은 것 또는 고급용도에 쓰이는 의복 및 물에 의해 향이 변형되는 의복 등은 건식 세탁인 드라이클리닝을 이용한다.